칼럼,시사, 뉴스
--- 문재인·안철수 후보 단일화 합의 '3대 포인트'
공수거
2012. 11. 7. 14:56
입력 : 2012.11.07 03:01
② 후보 단일화 방식 - 安 "여론조사" 文 "여론조사+α"… 담판 가능성도
③ 민주 기득권 포기 - 신당창당·공동정부 구성때 5대5 원칙 적용할 듯

①"국민 연대 필요"… 신당 가능성
문·안 두 후보는 합의문에서 "양쪽 지지자들을 크게 모아내는 국민 연대가 필요하다"고 했다. 정치권에서는 "'국민 연대'가 결국 신당 창당을 의미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왔다.
두 정치 세력이 합치는 가장 전통적인 방법은 하나의 정당을 만드는 것이다. 문 후보 측 김민영 공동선대위원장은 6일 "두 세력이 연대하고 통합한다는 큰 정신이 만들어진다면 당연히 하나의 당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안 후보 측 핵심 관계자는 '국민연대'에 대해 "신당 창당이라기보다 대선을 위한 자발적 유권자 모임을 확대하겠다는 뜻"이라고 했다. 하지만 안 후보가 "앞으로 20년간 정치하겠다"고 공언한 만큼 어떤 형태로든 정치 조직이 필요한 상황이다. 신당을 만들 경우 창당 시점은 대선 이후가 될 것이란 관측이 많다.
양측이 '신당' 내지는 '세력 통합'을 추진하는 것은 단일 후보가 정해졌는데도 다른 쪽 지지자들이 따라오지 않을 경우 대선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를 이기기가 쉽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다. 정치권에서는 두 후보가 곧 내놓을 '새정치공동선언'에 이와 관련한 구체 방안이 담길 거란 관측이 나온다.
'공동선언' 협상 과정에서는 국회의원 정수 축소, 정당의 국고보조금 폐지, 중앙당 축소 등 안 후보가 제시한 정치 혁신안이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 후보는 안 후보의 이런 안(案)들에 대해 '비현실적'이라며 반대 의사를 밝힌 바 있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후보가 6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기념관에서 후보 단일화를 논의하는 회담을 갖기에 앞서 취재진 앞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두 후보는 이날 후보 등록일 전 단일화에도 합의했다. 양측이 그간 샅바싸움을 해오던 단일화 시기와 방법 중 시기 문제는 이날 정리가 된 것이다. 문제는 단일화 방식이다.
문·안 양 측은 모두 "두 후보 간에 단일화 방식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고 했다. 정치권에서는 일단 여론조사를 가장 유력한 방법으로 꼽고 있다. 선거인단 구성을 통한 경선을 할 경우 후보 등록 전까지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두 후보가 전격적으로 담판을 통해 단일 후보를 정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정 시점을 택해 당시 여론 상황 등을 감안해 어느 한쪽이 양보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양측 모두 지지세가 크게 불어나 있는 상황이어서 양보하는 쪽이 내부 동의를 얻기가 어렵다는 점이 있다.
③민주당 기득권 내려놓기
문·안 합의에서 주목할 부분 중 하나는 "정치 혁신의 첫걸음은 정치권이 먼저 기득권을 내려놓는 것"이라는 대목이다. 이는 "민주당이 기득권을 내놓아야 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졌다. 야권 관계자는 "신당을 만들 경우 민주당과 안 후보 측이 동등한 입장에서 참여해야 한다는 뜻도 있지 않겠느냐"고 했다. 지분으로 말할 경우 5대5의 협상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집권에 성공할 경우 공동 정부 구성에서도 같은 원칙이 적용돼야 한다는 뜻이란 얘기도 나온다. 이해찬·박지원 등 민주당 지도부 사퇴도 기득권 내려놓기의 일환으로 거론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