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시사, 뉴스
--- 문용린 당선인 "전교조, 이념교육 중단 땐 협의"
공수거
2012. 12. 20. 11:48
입력 : 2012.12.20 03:07 | 수정 : 2012.12.20 09:57
[文, 서울 25개 모든 區에서 1위로 교육감 당선]
학생인권조례 일부 수정·폐지… 혁신학교, 추가 지정 안 할듯
무상급식은 현행 수준 유지… 고교 선택제, 계속 시행 유력
中1 시험 없애 부담 줄이기로
교육부 장관 출신인 보수 단일 문용린(65) 후보가 서울교육감에 당선되면서 앞으로 서울 교육에 적잖은 변화가 예상된다. 문 당선인은 20일 당선증을 받는 동시에 서울시교육감으로 업무를 시작한다. 그는 후보 매수죄로 지난 9월 구치소에 수감된 곽노현 전 교육감의 남은 임기 1년 6개월간 서울 교육을 책임지게 된다.
문 당선인은 이날 선거에서 서울 25개 모든 구(區)에서 1위를 차지했다. 야당 성향 유권자가 많은 지역에서도 문 당선인이 승리한 것은 진보 단일 후보로 이수호 전 전교조 위원장이 출마해 ‘반(反)전교조 정서’가 작용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전임 곽노현 교육감의 비리를 접한 시민이 이 후보보다 문 당선인으로 기운 것으로 보인다. 선거 기간 내내 전교조에 비판적 입장을 취했던 문 당선인은 “전교조는 이제 정치·이념 투쟁을 중단하길 바란다”며 “전교조가 정치투쟁, 이념교육을 중단하고 교육환경 개선 등에 나선다면 함께 협의해 나갈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문 당선인은 학생인권조례 등 교육현장에 혼란을 줬던 정책은 바로잡겠다고 말했다. 곽 전 교육감이 추진했던 ‘학생인권조례’는 일부 조항을 수정하거나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할 전망이다. 학생인권조례가 서울시의회에서 통과돼 조례 자체를 폐지하기는 힘들지만, 동성애 차별 금지, 소지품 검사 금지 등 일부 논란이 있는 조항들은 수정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선거운동기간에 “학생인권조례 등장 후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의 지도력이 작동하지 않고 교사가 얻어맞고 조기 퇴직하는 사례까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었다.
문용린 서울시교육감 후보가 19일 오후 6시 서울 중구 신당동 선거사무실에서 투표 종료와 동시에 발표된 방송 3사 공동 출구조사 결과에서 승리한 것으로 나타나자 팔을 치켜들며 기뻐하고 있다. /이준헌 기자

문 당선인은 당선 직후 곽 전 교육감이 도입한 ‘혁신학교’를 더 이상 확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문 당선인 측은 “혁신학교 한 곳당 교육청 예산 1억5000만원이 추가로 투입되는 만큼 학교가 잘 운영되는지 철저히 감독하겠다”고 밝혔다.
곽 전 교육감이 폐지를 추진했던 ‘고교 선택제’는 계속 시행할 방침이다. 고교 선택제는 중학교 3학년 학생이 거주지 학군에 상관없이 서울 전체 지역의 고교 중 원하는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제도로, 2010년 처음 도입됐다. 곽 전 교육감은 고교 선택제가 ‘학교를 서열화한다’는 이유로 폐지하려 했다. 그러나 곽 전 교육감이 수감되면서, 고교 선택제도 그대로 시행 중이다. 문 당선인은 고교 선택제, 특목고, 자율고 등 학생들이 원하는 학교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정책을 펴겠다는 입장이다.
진보·좌파 교육감들이 확대해온 무상급식도 현행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서울 지역은 초등학교 전 학년과 중학교 1학년까지 무상급식을 시행 중이다. 내년에는 중학교 2학년까지 확대된다.
문 당선인은 또 선거 운동 때 ‘중학교 1학년 시험 폐지’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중학교 1학년은 지필고사식의 중간·기말 고사를 없애 시험 부담을 줄여주고, 진로와 적성을 찾아가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듣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학생 평가는 중간·기말 고사 대신 수행 평가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하겠다고 한다. 문 당선인 측은 “내년에는 일부 시범학교에서 운영해보고 점차 전체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