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ㆍ해양수산부 설치로 '큰정부' 기조, 특임장관실 폐지
朴당선인 경제부흥ㆍ국민안전 의지 반영..중소기업청 기능강화
지식경제부→산업통상자원부, 행정안전부→안전행정부
(서울=연합뉴스) 김화영 기자 =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내달 출범하는 `박근혜 정부'의 조직을 현행 15부2처18청에서 2개부(部) 늘린 17부3처17청으로 확정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경제위기 극복과 `경제부흥' 의지에 따라 현 정부 들어서 폐지된 경제부총리제가 부활했다.
박 당선인의 공약대로 미래창조과학부ㆍ해양수산부가 설치됐고 정보통신기술(ICT) 전담조직은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차관제의 형태로 도입됐다.
국민안전 강화를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처(處) 단위로 격상되고 경찰청의 생활안전 기능도 보강됐다.
김용준 인수위원장은 15일 오후 서울 삼청동 인수위 공동기자회견장에서 "이번 정부조직개편은 국민행복시대를 열기 위한 국민의 안전과 경제부흥이라는 박 당선인의 국정철학과 실천의지를 담고 있다"며 개편안을 공식 발표했다.
현 정부에서 폐지된 과학기술부ㆍ해양수산부ㆍ정보통신부를 부활시키거나 기능을 강화시킨 이번 개편은 `이명박 정부' 이전으로 정부조직을 환원시키는 의미가 있다.
- 5년 만에 부활하는 해양수산부
- (서울=연합뉴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15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인수위원회에서 미래과학부와 해양수산부 신설 등을 골자로 한 새 정부 조직개편안을 발표했다. 사진은 지난 2008년 2월 이명박 정부 출범 당시 국토해양부로 흡수해체된 해양수산부 직원들이 강무현 장관 이임식을 위해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모습. 2013.1.15 << 연합뉴스 DB >> photo@yna.co.kr
정부의 골격은 2개부(部)ㆍ1개처(處) 설치와 더불어 특임장관실이 폐지되며 역대 정부조직개편 때보다는 비교적 소폭으로 개편됐다.
김용준 위원장은 "미래창조과학부는 창조경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부역량을 강화할 것"이라며 "ICT 관련 정책기능을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전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대신 장관급인 국가과학기술위는 폐지하고 원자력안전위원회도 미래창조과학부 소속으로 변경된다.
김 위원장은 해양수산부 복원에 대해 "급변하는 해양질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이전의 해수부 기능을 복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건복지부의 외청인 식품의약품안전청은 먹거리 안전관리의 일원화 등을 위해 국무총리 소속의 식품의약품안전처로 격상됐다.
- 조직개편, 특임장관실 폐지
- (서울=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내달 출범하는 `박근혜 정부'의 조직을 현행 15부2처18청에서 2개부(部) 늘린 17부3처17청으로 확정해 발표했다. 15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 있는 특임장관실 사무실에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2013.1.15 leesh@yna.co.kr
`구조변경' 없이 기능이 강화된 부처도 있다.
기획재정부 장관이 겸하는 경제부총리는 경제부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식경제부는 통상환경 개선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 외교통상부의 통상기능을 이관받으며 `산업통상자원부'로 바뀌었다. 외교통상부는 외교부로 개명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는 국민안전 분야를 총괄하면서 `안전행정부'로 개편됐고, 경찰청도 각종 범죄에 책임있게 대처할수 있도록 생활안전 기능이 단계적으로 보강된다.
중소기업청은 현행처럼 지식경제부의 외청으로 남았지만 지식경제부가 갖고 있던 중견기업정책과 지역특화발전 기능을 이관받으며 기능이 크게 강화됐다.
- <그래픽> 새 정부조직개편안(17부3처17청)
- (서울=연합뉴스) 박영석 기자 = `박근혜 행정부'의 정부조직도가 15일 제 모습을 드러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출범 9일 만인 이날 정부조직 개편안을 발표하고 `박근혜 정부'를 뒷받침할 새로운 정부의 골격을 갖췄다. zeroground@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이번 개편으로 국무위원수는 16명에서 17명으로 1명 늘었다. 신설된 2개부처 장관이 새로운 국무위원이 되지만 특임장관이 폐지됐기 때문이다.
이번 개편안을 주도한 유민봉 인수위원은 "이번 조직개편의 원칙은 꼭 필요한 것만 개편한다, 국민안전과 경제부흥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조직을 활용한다, 전문성과 통합성을 강조한다는 3가지였다"면서 "꼭 필요한 것만 개편한다는 최소화의 원칙을 지켰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공무원 정원 조정에 대해 그는 "앞으로 발표할 부처별 세부기능 조정에서 인력은 현재의 규모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금융기구에 대한 개편은 이번에 포함되지 않았다.
해양수산부의 입지도 서울ㆍ부산ㆍ세종시 가운데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 <그래픽> 정부조직개편안 비교
- (서울=연합뉴스) 박영석 기자 =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내달 출범하는 `박근혜 정부'의 조직을 현행 15부2처18청에서 2개부(部) 늘린 17부3처17청으로 확정했다. yoon2@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조만간 의원입법 형태로 국회에 제출돼 1월 처리를 목표로 입법 절차를 밟게 된다.
인수위는 앞으로 부처별 실ㆍ국단위의 전면 조정 등 후속작업에 나서게 된다.
청와대 조직개편에 대해 유민봉 위원은 "오늘 구체적으로 말하기는 이르다"고 덧붙였다.